티스토리 뷰

반응형

기사원문 ( 한국게임이용자협회, 보건복지부 '게임 중독' 자의적 표기 규탄  25.09.05, 전자신문)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347629

 

한국게임이용자협회, 보건복지부 '게임 중독' 자의적 표기 규탄

한국게임이용자협회는 보건복지부가 법률에 근거하지 않고 '인터넷 게임'을 중독 관리 대상에 포함한 정책적 오류에 대해 강력히 문제 제기하며 이에 대한 공개 청원에 1761명의 게이머가 동참

n.news.naver.com

 

보건복지부 게임 중독 자의적 표기 규탄
보건복지부 게임 중독 자의적 표기 규탄

🔍 핵심 요약 :
정부 기관인 '보건복지부'가 법에 정해진 내용과 다르게 '게임 중독'이라는 말을 마음대로 썼어요. 
그래서 게임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건 잘못됐어요! 원래 규칙대로 해주세요!"라고 
목소리를 냈다는 소식이에요.

 

기사본문

법에는 없는 '게임 중독'이라는 말


우리나라에는 사람들의 마음 건강을 돕는 법이 있어요. 이 법에서는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에 너무 빠져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도와주라고 되어 있답니다. 친구들, 여기 어디에도 '게임'이라는 말은 없죠?

그런데 '보건복지부'라는 정부 기관에서 '인터넷'이라는 말을 자기들 마음대로 '인터넷 게임'이라고 바꿔서 사용한 거예요. 홈페이지나 안내문 같은 곳에 '게임 중독'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죠. 이건 마치 법에 쓰여 있지도 않은 내용을 자기들 마음대로 만들어서 이야기하는 것과 같아요.

게이머들이 힘을 합쳐 "고쳐주세요!" 외쳤어요

이 사실을 알게 된 '한국게임이용자협회'(게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에요!)가 가만히 있지 않았어요. "법에도 없는데 왜 게임을 나쁜 것처럼 이야기하나요? 이건 잘못됐어요!"라고 말했죠.

그리고 무려 1,761명의 게이머들과 함께 "이것 좀 고쳐주세요!" 하고 정부에 정식으로 부탁하는 '청원'을 냈어요. 이 청원에는 이런 내용이 담겨 있답니다.

  첫째, 법에 없는 '게임 중독'이라는 말 이제 쓰지 마세요!
  둘째, 사람들을 도와주는 기관의 안내문을 다시 제대로 만들어 주세요!
  셋째, 앞으로는 꼭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투명하게 결정해 주세요!

 

🧩 알쏭달쏭 개념 풀기

  • 보건복지부: 우리나라 국민들의 건강과 행복한 생활을 책임지는 정부 기관이에요. 병원, 약,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일 등을 담당해요.
  • 자의적 해석: 어떤 규칙이나 글을 자기 생각대로, 마음대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해요. 원래 뜻과 다르게 받아들이는 거죠.
  • 청원: 국민이 정부나 국회에 "이런 점을 고쳐주세요" 또는 "이런 법을 만들어주세요"라고 공식적으로 부탁하는 것을 말해요. 많은 사람이 함께하면 더 큰 힘을 가질 수 있어요.
  • 규탄: 어떤 사람이나 단체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며 강하게 비판하는 것을 뜻해요.
💡 이야기로 이해하기 :

학교 규칙에 "교실에서 단것을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조심해요"라고 쓰여 있었어요.

그런데 담임 선생님께서 이 규칙을 보시고는 반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우리 반에서는 초콜릿을 먹으면 안 돼! 초콜릿 먹는 사람은 나쁜 학생이야!"

사탕이나 쿠키를 먹은 친구는 괜찮은데, 초콜릿 한 조각을 먹은 친구만 크게 혼이 났어요.

그러자 그 친구가 억울해서 손을 들고 말했어요.
"선생님, 학교 규칙은 '단것'이지 '초콜릿'만 말한 게 아니잖아요! 왜 초콜릿만 나쁘다고 하시는 건가요?
이건 공평하지 않아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