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난번에 정리한 단어들에 이어 이번에는 뉴스 기사, 공문서,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데도 10대들이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을 골라봤습니다. 평소 공부할 때나 신문을 읽을 때 한 번쯤 마주쳤을 법한 단어들이니, 이번 기회에 익혀 두면 확실히 도움이 될 거예요.
- 유구하다 (悠久하다)
- 쉬운 뜻: 아주 오래되다
- 자세한 설명: ‘유구’는 ‘멀고도 길다’라는 의미로, 역사나 전통처럼 오래 이어져 내려온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예시: “한국은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나라입니다.”
- 준공하다 (竣工하다)
- 쉬운 뜻: 건설을 마치다
- 자세한 설명: 건물이나 시설의 공사가 완전히 끝났음을 공식적으로 표현할 때 씁니다.
- 예시: “새로운 도서관이 이번 달 준공했습니다.”
- 시사하다 (示唆하다)
- 쉬운 뜻: 넌지시 알려주다
- 자세한 설명: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어떤 방향이나 의미를 은근히 드러내는 표현입니다.
- 예시: “그 발언은 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기인하다 (起因하다)
- 쉬운 뜻: 원인으로 생기다
- 자세한 설명: 어떤 결과가 특정 원인에서 비롯되었음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 예시: “사고는 운전자의 부주의에 기인했습니다.”
- 도래하다 (到來하다)
- 쉬운 뜻: 어떤 시기가 다가오다
- 자세한 설명: 주로 새로운 시대나 계절이 올 때 사용합니다.
- 예시: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 착수하다 (着手하다)
- 쉬운 뜻: 일을 시작하다
- 자세한 설명: 공식적이고 큰 규모의 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 자주 쓰입니다.
- 예시: “정부는 대규모 환경 정비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 정례화하다 (定例化하다)
- 쉬운 뜻: 규칙적으로 하다
- 자세한 설명: 특정 행사나 모임을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제도화하는 뜻입니다.
- 예시: “회의를 매월 정례화했습니다.”
- 명문화하다 (明文化하다)
- 쉬운 뜻: 문서로 분명히 적다
- 자세한 설명: 말이나 관습으로만 있던 것을 공식 문서로 확실하게 적어놓는 것을 말합니다.
- 예시: “규칙을 명문화해 분쟁을 예방했습니다.”
- 파급하다 (波及하다)
- 쉬운 뜻: 영향을 널리 퍼뜨리다
- 자세한 설명: 물결이 번지듯 어떤 일이 다른 곳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 예시: “경제 위기가 전 세계로 파급되었습니다.”
- 부각되다 (浮刻되다)
- 쉬운 뜻: 눈에 두드러지게 드러나다
- 자세한 설명: 원래는 조각 기법에서 나온 표현으로, 사회적 이슈나 인물이 특별히 강조될 때 씁니다.
- 예시: “환경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었습니다.”
- 비등하다 (沸騰하다)
- 쉬운 뜻: 끓듯이 달아오르다
- 자세한 설명: 여론이나 감정이 뜨겁게 치솟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 예시: “그 사건은 국민적 분노를 비등하게 만들었습니다.”
- 제정하다 (制定하다)
- 쉬운 뜻: 법이나 규칙을 만들다
- 자세한 설명: 새 법률이나 제도를 공식적으로 마련하는 것을 뜻합니다.
- 예시: “정부는 청소년 보호법을 새롭게 제정했습니다.”
- 폐지하다 (廢止하다)
- 쉬운 뜻: 없애다
- 자세한 설명: 법률이나 제도가 더 이상 필요 없을 때 없애는 행위입니다.
- 예시: “노후된 규정을 폐지했습니다.”
- 감안하다 (勘案하다)
- 쉬운 뜻: 고려하다
- 자세한 설명: 상황이나 조건을 잘 따져 판단에 반영하는 의미입니다.
- 예시: “학생들의 사정을 감안해 시험 시간을 조정했습니다.”
- 개연성 (蓋然性)
- 쉬운 뜻: 그럴 만한 가능성
- 자세한 설명: 반드시 일어나지는 않지만 일어날 법한 정도를 말합니다.
- 예시: “범행에 개연성이 충분합니다.”
- 잔존하다 (殘存하다)
- 쉬운 뜻: 남아 있다
- 자세한 설명: 사라지지 않고 일부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예시: “과거의 흔적이 아직도 도시에 잔존해 있습니다.”
- 유예하다 (猶豫하다)
- 쉬운 뜻: 잠시 미루다
자세한 설명: 법 집행이나 규정을 일정 기간 뒤로 미루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시: “신규 제도의 시행을 유예했습니다.” - 시정하다 (是正하다)
- 쉬운 뜻: 잘못된 것을 바로잡다
자세한 설명: 공문서에서 자주 등장하며, 오류나 잘못된 점을 수정하는 의미입니다.
예시: “불합리한 제도를 시정했습니다.” - 통용하다 (通用하다)
- 쉬운 뜻: 널리 쓰이다
자세한 설명: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말이나 방법을 말합니다.
예시: “이 표현은 일상에서 널리 통용됩니다.” - 한정하다 (限定하다)
- 쉬운 뜻: 범위를 정해 제한하다
자세한 설명: 무언가의 범위나 대상을 좁혀 특정 조건으로만 두는 것을 뜻합니다.
예시: “참가 자격을 대학생으로 한정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다소 딱딱하지만, 앞으로 사회생활이나 시험, 글쓰기에서 반드시 마주칠 단어들을 모아봤습니다. 사실 이런 단어들은 한 번 뜻을 알고 나면 생각보다 쓰임새가 명확해서 이해하기 쉽습니다. 앞으로도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들을 정리해 드릴 예정이니, 다음 편도 기대해 주세요!
반응형
LIST
'나의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 3만8000원은 과연 정당한가? (1) | 2025.10.03 |
|---|---|
| 함께 있지만, 따로 있는 우리 (2) | 2025.09.13 |
| K-POP 데몬헌터스, 왜 우리나라가 만들지 못했을까? (2) | 2025.09.13 |
| 도로 위 시한폭탄, 배달 오토바이… 이대로 괜찮을까요? (0) | 2025.09.08 |
| 모두가 의사를 꿈꾸는 세상, 과연 행복할까요? (1) | 2025.09.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양평군립미술관
- 양평
- 아빠육아휴직
- 책리뷰
- 다둥이
- 옥천면카페
- 옥천면커피
- 옥천어린이집
- 삼성큐브
- 김용신의그대와여는아침
- 호주가족여행
- 다둥이아빠
- 양평전원생활
- 도서리뷰
- 양평맛집
- 육아휴직
- 양평커피
- 아빠의달
- 옥천면맛집
- 순대국
- 책서평
- 양평냉면
- 사연당첨
- 양평여행
- 양평시장
- 전원생활
- 옥천면
- 양평가볼만한곳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뉴스
- 양평카페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